Surprise Me!

[단독] 군 지휘소 14곳 중 13곳, EMP 방호 미흡 / YTN

2025-07-30 5 Dailymotion

올해 초 감사원이 우리 군 전쟁 지휘부의 EMP 방호시설이 부실하다고 지적하면서도 군 기밀이란 이유로 이를 공개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, 당시 조사를 보니 EMP 방호시설이 구축된 14곳 가운데 무려 13곳이 유사시 EMP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는 아직도 보수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나혜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EMP는 전자장비 회로를 태워 순식간에 통신망을 마비시킬 수 있는 인공 전자기파입니다. <br /> <br />주로 핵폭탄이 터졌을 때 발생하고 전자기파 공격을 위한 EMP탄을 따로 만들기도 하는데 북한도 개발에 열을 올리는 거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(2023년 3월) : 언제든 적이 두려워하게 신속 정확히 가동할 수 있는 핵 공격 태세를 완비할 때라야….] <br /> <br />감사원은 지난 3월 국방부 정기감사에서 우리 군의 EMP 방호능력이 부실하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군사보안을 이유로 구체적인 실태는 공개하지 않았는데 YTN 취재 결과 당시 EMP 방호시설 14곳을 전수 조사했더니 13곳의 성능이 미흡했던 거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합참과 수도방위사령부, 3군 본부가 있는 계룡대 등 유사시 전쟁지휘소로 쓰일 주요 시설들이 한 곳만 빼고, EMP 공격에 취약한 상태였던 겁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는 지난 2022년 전자기파 측정 장비를 도입하고 나서야 2년 주기 점검에 나서 이런 사실을 파악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가 시작되자 미흡한 13곳 가운데 8곳은 이미 보수를 마쳤고 한 곳은 공사 중, 4곳은 보수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차폐문이나 소모품에서 부분적으로 빈틈이 생겼을 뿐, 전체 방호성능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자기파의 특성상 한 군데만 뚫려도 군 전력·통신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수 / 국방권익연구소장 : 완벽해야 한다는 거예요, 차폐 시설은. 근데 그게 안 된다는 거거든요. 지금 현재 있는 군사 중요 시설은 EMP 폭탄에 대해서 무용지물이라고 보면 됩니다.] <br /> <br />EMP 방호시설은 2009년 합참 청사를 새로 지을 때부터 뒷말이 끊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군이 방호 성능 기준치를 기존 100㏈에서 80㏈로 낮추면서, 고도화하는 EMP탄의 위력에 비춰 부적절하단 지적이 잇달았습니다. <br /> <br />안규백 국방장관은 국회 국방위원 시절 EMP 방호설비가 필요한 군사시설이 220여 곳에 달한다고 지적했는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혜인 (nahi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5073105221054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